□ 미래창조과학부와 KAIST는 2017년 우주로 발사 예정인 차세대소형위성에 실어 보낼 사진과 사연을 10월 4일부터 KAIST 누리집(http://dream2space.kaist.ac.kr)에서 전국민을 대상으로 신청 받는다.
ㅇ차세대소형위성은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인 "인공위성 개발로 국가안전과 대국민 서비스 강화"를 위한 소형위성사업개발을 통해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에서 개발 중인 위성으로 국내개발 우주기술의 우주환경검증과 우주과학연구를 이한 우주관측을 수행할 예정이다.
|
< 차세대소형위성 개요 > |
|
|
■ (사업목적)국내개발 우주기술>의 우주환경검증과 지구/우주과학연구를 위한 표준화된 100kg급 소형위성 개발 및 인력양성 * 고속 자료 처리장치, 적층형 대용량 메모리, 위성 탑재컴퓨터 핵심모듈,위성용 S대역 디지털송수신기, 광학형 자이로, 별추적기 ** 우주폭풍연구, 근적외선을 이용한 별탄생 연구 ■ (사업기간)< '12.6월 ~ '18.2월 ('17.하반기 발사) ■ (총사업비)324.3억원 ■ (개발기관) KAIST인공위성연구센터
|
 [차세대소형위성] | | □ 이번 행사는 학생들이 우주에 대한 꿈과 희망을 키우고 국민들이 위성개발사업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기회를 갖기 위해 마련되었다.
□ 이번 공모는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발사일(57.10.04)을 기념하여 10월 4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KAIST 누리집에서 진행될 예정이다. ㅇ신청자는 우주로 보내려는 사진 1장과 A4 1장 이내의 사연을 KAIST 누리집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시 1인용, 2인용, 가족용 중 선택하여 우주탑승권도 발급받을 수 있다. ㅇ우주탑승권은 차세대소형위성에 희망의 메시지를 실을 수 있다는 증표로 ID카드와 비행기표 형태의 2종으로 구성된다. 신청자 전원은 KAIST 누리지비에서 위성 이송일(17.6월 예정)부터 표 형태의 우주탑승권을 출력 할 수 있으며 특히, 선착순 3만명에게는 ID카드크기의 우주탑승권을 우편으로 발송할 예정이다. ㅇ차세대소형위성에 실려 우주로 간 신청 희망의 메세지들은 위성이 우주에서 머무르는 30여년 동안 위성과 함께하게 될 것이다.
□ 미래부 배태민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“이번 행사가 학생들에게 우주에 대한 꿈과 희망을 주고 국민들에게 국가위성개발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, 우리나라 국적의 첫 위성을 우주에 올린 지 사반세기가 되는 내년 발사할 차세대소형위성을 차질없이 개발할 계획”이라고 밝혔다.
|